이더리움에서 수수료 주소 정책
이더리움의 수수료 정책은 트랜잭션 처리의 효율성과 네트워크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구조이다. 현재 이더리움의 수수료는 EIP-1559 이후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Layer 1
기본 수수료 구조(EIP-1559 기준)
- Base Fee(기본 수수료)
-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최소 수수료
- 트랜잭션이 블록에 포함되기 위해 무조건 지불해야함.
- 이 수수료는 소각(Burn)된다. (채굴자/검증자에게 가지 않음.)
- Priority Fee
- 블록 생성자(검증자)에게 주는 추가 보상
- 빠른 처리를 원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설정 가능
- Max Fee(최대 지불 수수료)
- 사용자가 전체 트랜잭션에 대해 지불할 의향이 있는 최대 금액
- maxFeePerGas = baseFee + priorityFee
수수료 계산 방식
수수료 = (baseFee + priorityFee) * gasUsed
Layer 2
Layer2(예: Arbitrum, Optimism)은 이더리움의 수수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등장했다. 트랜잭션은 L2에서 처리하고, L1(이더리움 메인넷)에 결과만 기록한다. 수수료가 훨씬 저렴하다.
Layer 2의 핵심 동작 방식
- 사용자들이 트랜잭션을 Layer2에서 실행
- 여러개의 트랜잭션을 묶어서 하나의 요약된 데이터만 Layer1에 기록
- 결과적으로 처리량은 증가하고, 수수료는 감소
Layer 2 기술 유형
1. Rollups(롤업) - 가장 핵심 기술
- 수많은 트랜잭션을 묶어 요약한 후, 이 요약만 메인넷에 제출
- Optimistic Rollup
- 예: Optimism, Aribitrum
- 트랜잭션을 "문제가 없다고 가정하고" 처리 -> 이후에 이의 제기 가능
- 검증 시간이 오래걸리지만, 구조가 단순
- ZK Rollup(Zero-knowledge)
- 예: zkSync, StarkNet, Scroll
- 암호학적으로 정확하는 증명(ZKP)와 함께 제출 -> 빠르고 안전
- 구조는 복잡하지만 미래성이 크다고 평가됨
2. State Channels
- 사용자들끼리 오프체인에서 다수의 거래를 주고받고, 마지막 상태인 Layer1에 반영
- 예: Raiden Network(이더리움의 경량화 네트워크)
3. Plasma
하위 체인을 만들어 처리 -> 정산만 메인 체인에서. 지금은 Rollup보다 덜 쓰임(복잡성과 보안 이슈)
Layer 2 사용 예시
- 메타마스크에서 Arbitrum One이나 zkSync Mainnet 네트워크 추가
- ETH나 ERC20을 브릿지로 L2로 보내기
- DEX(예: Uniswap on Arbitrum)에서 저렴한 수수료로 Swap하기
Layer 2의 장점
항목 | 설명 |
---|---|
수수료 절감 | 수십-수백 배 저렴 |
빠른 거래 처리 | 초당 수천건 이상 가능 |
L1 보안 사용 | 요약 네트워크를 L1에 기록하므로 안전 |
메인넷 혼잡도 감소 | 이더리움의 스케일 문제 해결에 기여 |
gasPrice와 gasLimit은 무엇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