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이란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은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는 서버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웹 컨텐츠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웹사이트의 이미지, CSS, JavaScript 파일, 동영상 등 정적 컨텐츠를 사용자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서버에서 전달하는 방식이다.

CDN의 작동 방식은 세 종류의 서버로 이루어진다.

CDN을 적용하면 컨텐츠 요청이 매번 원본 서버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대규모 트래픽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물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컨텐츠를 전송하므로 속도가 빠르다.

CDN은 언제 적용하는 것이 좋을까?

첫째, 세계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에 방문하는 경우이다. 만약 CDN을 적용하지 않은 한국 서비스에 브라질 사용자가 방문했다면, 방문자의 위치와 서버의 위치가 물리적으로 멀기 때문에 지연 시간이 길다. 반면, CDN을 적용하여 브라질에도 엣지 서버가 있다면, 브라질 사용자가 요청할 경우 가까운 위치에 있는 해당 서버를 통해 빠르게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연 시간을 짧게 가져갈 수 있다.

둘째, 대량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다. CDN을 적용하면 엣지 서버들로 트래픽이 분산되기 때문에, 대량 트래픽이 발생해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서버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다른 엣지 서버들을 통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장애에 대응하기에도 용이하다.

다만 트래픽이 많지 않고 국내 방문자만 있는 웹사이트는 CDN을 도입할 필요가 없다.